사람에게 도움이 되고 세상을 행복하게 하는 교육기관이 되겠습니다.
![]() |
강의교수 | 정운규 | ||
---|---|---|---|---|
수강료 | 34,900 | 학점 | 3 | |
학습기간 | 2025/05/22 ~ 2025/09/03(15주) | 정원 | 40 | |
교수학력 | - 학사 : 세종대학교 국어국문학 문학사 - 석사 : 세종대학교 한국어교육학 문학석사 - 박사 : 세종대학교 한국어교육학 문학박사 |
|||
교수경력 | - 한양대학교 국제교육원 강사 - 세종대학교 국제교육원 강사 |
|||
[전공관련영역]
학사 - 전문학사 - |
과목개요 | 한국어 이해 교육(듣기·읽기 교육)의 원리를 탐구하고 이해 교육의 내용에 대해 고찰하며 효율적인 한국어 이해 교육 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본 교과목은 이해 기술의 특성, 듣기·읽기 교육 이론, 구어와 문어의 특성, 한국어 담화·텍스트 구조와 이해 교육, 이해 처리의 모형(상향식, 하향식, 상호작용적), 실제적 자료와 교육적 자료, 듣기의 개념 및 범위, 듣기 교육 방법, 듣기 활동 유형 및 과제 분석, 듣기 전략, 듣기 능력 평가 방안, 읽기의 개념, 읽기 자료의 범위, 읽기 교육 방법, 읽기 활동 유형 및 과제 분석, 읽기 전략, 읽기 능력 평가 방안 등으로 구성되며 한국어 듣기·읽기 교육 이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어 이해 교육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 |
---|---|
학습목표 | 1. 의사소통 수단으로서의 듣기·읽기의 개념과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2. 문어와 구어의 특징을 설명하고 이해 교육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3. 한국어 이해 교육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이해 처리 과정을 파악하고 한국어 이해 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 5. 한국어 담화와 텍스트 구조를 파악하고 한국어 이해 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 6. 학습 목적과 수준에 맞는 이해 교육의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7. 듣기·읽기 교육 내용 및 자료의 특성과 구성 원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8. 듣기·읽기 활동의 유형을 파악하여 수업에 활용할 수 있다. 9. 듣기·읽기 교육의 단계별 전략과 효과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10. 듣기·읽기 평가의 원리를 적용하여 학습 목적과 숙달도에 따른 평가 문항을 개발할 수 있다. |
강의방법 | 온라인 강의, 토론, 과제, 질문답변, 형성평가, 학습자료실, 퀴즈, 생각나누기 |
교재/참고문헌 | 없음 |
평가기준 | 출석(20점) ,과제(13점) ,토론(7점) ,중간(25점) ,기말(250점) ,퀴즈(5점) ,수업참여도(5점) |
이수기준 | 출석: 16점 이상(80%), 총점: 60점 이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