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에게 도움이 되고 세상을 행복하게 하는 교육기관이 되겠습니다.
![]() |
강의교수 | 최영선 | ||
---|---|---|---|---|
수강료 | 39,900 | 학점 | 3 | |
학습기간 | 2025/05/22 ~ 2025/09/03(15주) | 정원 | 40 | |
교수학력 | - 학사 : 경기대학교 사회복지학 학사 - 석사 : 경기대학교 사회복지학 석사 - 박사 : 예명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
|||
교수경력 | - 서정대학교 글로벌융합복지학부 조교수 | |||
[전공관련영역]
학사 - 전문학사 - |
과목개요 | 현대사회의 주요 사회문제의 해결을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지역사회의 그들의 시간과 노력을 투입함으로써 지역사회의 복지향상을 도모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이에 자원봉사에 대한 학습을 통해 이후의 자원봉사자 관리자로서의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교과목에서는 자원봉사 및 관련 개념을 이해하고 사회복지와 자원봉사의 관계를 탐색하고 한국과 외국의 자원봉사의 역사와 현황을 비교하며, 21세기 시민사회에서의 자원봉사의 필요성을 논한다. 또한 자원봉사관리의 개념과 역할, 과정을 살펴보고, 자원봉사자 모집, 자원봉사 프로그램 기획·실행·평가에 대해 학습한다. 나아가 자원봉사 주요 분야에서의 쟁점들을 탐색한 후,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탐색한다. 자원봉사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기초로, 시민들의 자원봉사활동을 계획하고 관리하고 이에 필요한 프로그램 개발을 할 수 있다. |
---|---|
학습목표 | 1. 자원봉사활동의 개념과 특성을 정의하고, 사회복지와 자원봉사활동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2.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다양한 동기에 대한 주요 이론과 모델을 학습하고, 각 이론이 자원봉사자의 행동을 어떻게 설명하는지 정리할 수 있다. 3. 자원봉사활동의 유형과 특성을 이해하고 우리나라와 외국의 자원봉사 전달체계를 비교·설명할 수 있다. 4. 우리나라의 자원봉사활동 현황과 자원봉사 환경의 주요 변화(예: 디지털 전환, 고령화 등)를 이해하고, 이러한 변화가 자원봉사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 5. 자원봉사관리자로서 프로그램의 기획·실행·평가의 방법을 설명하고 실행할 수 있다. 6. 자원봉사자를 효과적으로 모집하고, 체계적으로 관리, 교육하여 자원봉사 활동의 성과를 높일 수 있다. 7. 다양한 참여자 그룹의 특성과 요구를 이해하고, 참여자별 맞춤형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 효과적인 관리 및 지원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8. 다양한 대상별로 자원봉사 요구를 분석하고, 각 대상의 특성에 맞춘 자원봉사 활동을 설계할 수 있다. 9. 자원봉사 주요 분야의 쟁점들을 탐색하여 문제점을 인식하고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모색할 수 있다. |
강의방법 | 온라인 강의, 토론, 과제, 질문답변, 형성평가, 학습자료실, 퀴즈, 생각나누기 |
교재/참고문헌 | 없음 |
평가기준 | 출석(20점) ,과제(13점) ,토론(7점) ,중간(25점) ,기말(25점) ,퀴즈(5점) ,수업참여도(5점) |
이수기준 | 출석: 16점 이상(80%), 총점: 60점 이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