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에게 도움이 되고 세상을 행복하게 하는 교육기관이 되겠습니다.
![]() |
강의교수 | 변기량 | ||
---|---|---|---|---|
수강료 | 51,000 | 학점 | 3 | |
학습기간 | 2025/05/22 ~ 2025/09/03(15주) | 정원 | 40 | |
교수학력 | 학사 : 중앙대학교 전자공학과 전자공학 석사 : 중앙대학교 전자공학과 반도체공학 박사 : 중앙대학교 전자공학과 반도체공학 |
|||
교수경력 | 전 중앙대학교 조교/강사/교수 전 중앙대학교 평생교육원 강사 |
|||
[전공관련영역]
학사 - 전문학사 - |
과목개요 | 전자계산기의 구성과 동작 특성의 기초 지식인 논리회로, 자료의 표현, 연산, 명령, 주소 지정 방식 등을 이해함으로써 계산기의 구조를 파악하고 응용하며, 전자계산기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위해 본 교과목은 전자계산기 구조 일반, 전자계산기의 논리회로, 자료의 표현, 연산, 명령과 주소 지정방식, 입력과 출력 - 입·출력에 필요한 기능, 전자계산기 구성망 등을 학습한다. |
---|---|
학습목표 | 1. 계산기의 구조를 파악하고 응용하여 전자계산기를 설계할 수 있다. 2. 전자계산기구조의 기본이 되는 디지털 논리회로의 기초 지식과 데이터 처리의 기본이 되는 이산수학의 기초 지식을 습득하고 설명할 수 있다. 3. 자료의 표현과 연산 그리고 명령과 주소 지정방식 등을 이해하여 입력과 출력 및 입출력에 필요한 기능, 전자계산기 구성망 등을 설명할 수 있다. 4. 연산 명령을 통한 데이터 입출력 전송이 CPU를 통하지 않고 직접 주기억장치와 주변장치 사이에서 수행되는 방식인 DMA(Direct Memory Access)를 제시할 수 있다. 5. 컴퓨터 명령어 구조와 주소지정방식 동작 과정 및 데이터 처리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6. 컴퓨터 중심의 실제 문제들의 해결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구조들의 사용법과 알고리즘 기술에 필요한 자료의 표현 및 전자계산기 구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7. 전자계산기의 동작을 분석하여 성능을 예측하고 프로그램 실행과정을 이해하여 전자계산기 설계에 활용할 수 있다. 8. 최근 기술동향에 대한 지식을 숙지함으로써 병렬 컴퓨터 시스템 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
강의방법 | 온라인 강의, 토론, 과제, 질문답변, 형성평가, 학습자료실, 퀴즈, 생각나누기 |
교재/참고문헌 | 없음 |
평가기준 | 출석(0점) ,과제(0점) ,토론(0점) ,중간(0점) ,기말(0점) ,퀴즈(0점) ,수업참여도(0점) |
이수기준 | 출석: 16점 이상(80%), 총점: 60점 이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