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에게 도움이 되고 세상을 행복하게 하는 교육기관이 되겠습니다.
![]() |
강의교수 | 김종국 | ||
---|---|---|---|---|
수강료 | 34,900 | 학점 | 3 | |
학습기간 | 2025/05/22 ~ 2025/09/03(15주) | 정원 | 40 | |
교수학력 | - 동국대학교 학사졸업 (경영학) -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 졸업 (청소년지도) -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 수료 (청소년지도) |
|||
교수경력 | - 서울기독대학교 (2003~2011) - 백석문화대학교 (2006~2007) - 명지대학교 (2008~2012) - 광운대학교 (2008~2012) - 명지전문대학교 (2010~현재) - 한국사회복지원격평생교육원 (2011~현재) - 한국사이버평생교육원 (2013~현재) - 고려사이버대학교 (2012~현재) <자격증> - 청소년지도사 1급 - 평생교육사 2급 |
|||
[전공관련영역]
학사 - 교양, 청소년학 전공 전문학사 - 교양 |
과목개요 | 사회변화에 따른 청소년문화의 본질을 이해하고 청소년문화형성의 영역별 실태와 문제점 등 다양한 관점과 시각을 통해 문화생산자와 소비자로서 우리사회의 중요한 역할과 기능을 담당하는 청소년문화를 올바로 이해하고, 청소년문화의 자생력을 배양·고취시킬 수 있는 문화적 가능성을 탐구한다. |
---|---|
학습목표 | 1. 문화의 개념과 정의, 구성요소에 대해 정의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청소년의 문화(인식, 속성, 특성)의 양상을 이해하여 이전과 다른 사고의 내용을 파악함으로 청소년의 생각에 접근할 수 있다. 3. 청소년 문화의 일상생활과 학습문화의 특징을 파악하며 건강한 청소년 문화 활성화를 위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 4. 분야별 다양한 청소년문화에 관해 깊이 있는 학습으로 문화 역량을 제고할 수 있다. 5. 청소년육성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청소년 문화 활동을 부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이론과 실제의 유리감을 좁힐 수 있다. 6. 북한이탈청소년에 대한 이해와 적응 문화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적응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7. 청소년문화가 그동안 하위문화로 인식된 제한성을 극복하고 보다 포괄적인 주류문화로 재인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
강의방법 | 온라인 강의, 토론, 과제, 질문답변, 형성평가, 학습자료실, 퀴즈, 생각나누기 |
교재/참고문헌 | 없음 |
평가기준 | 출석(20점) ,과제(2점) ,토론(20점) ,중간(25점) ,기말(25점) ,퀴즈(3점) ,수업참여도(5점) |
이수기준 | 출석: 16점 이상(80%), 총점: 60점 이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