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에게 도움이 되고 세상을 행복하게 하는 교육기관이 되겠습니다.
![]() |
강의교수 | 김은영 | ||
---|---|---|---|---|
수강료 | 39,900 | 학점 | 3 | |
학습기간 | 2025/05/22 ~ 2025/09/03(15주) | 정원 | 40 | |
교수학력 | 학사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사업학과 학사 석사 :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 석사 박사 : 숭실대학교 평생교육학 박사 |
|||
교수경력 | 마포구 성산2동장 서울시거버넌스위원 마포구 장기요양보험공단 심의위원 |
|||
[전공관련영역]
학사 - 전문학사 - |
과목개요 | 가정은 사회복지의 중요한 근간이자 사회유지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족 및 가정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건강한 가정을 이루기 위한 다양한 이론과 실제에 대해 학습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건강한 가정의 특성과 의미, 필요성, 사회와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다. 이후 건강가정에 대한 연구동향과 여러 이론들, 생애주기별 가정의 건강성에 대해 학습하고, 건강가정기본법 및 각종 건강가정정책과 서비스, 시설 등의 배경, 내용, 문제 등을 살펴보고 분석해 본다. 마지막으로 한국에서의 가정 및 가족의 변화를 사회변화의 흐름과 함께 고려하고, 앞으로의 건강한 가정을 만들기 위한 과제 및 전망을 알아보고 이를 위한 효과적인 사회복지적 대안을 고찰한다. 나아가 사회복지분야에서 건강한 가정 및 그 중요성을 깊이 있게 인식하고, 건강가정사업의 사회복지실천기술을 습득하여 자신의 가정에서부터 사회복지적 실천을 하고, 건강한 가정 만들기를 위한 각종 사회복지적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
---|---|
학습목표 | 1. 일반적인 가정에 대한 정의 및 현대 가족의 변화와 가족의 현대적 의미와 건강가정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을 살펴본 후 가정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통한 다양한 시각에서 건강가정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건강가족에 대한 필요성과 접근방법을 이해하고, 현대 사회의 다양한 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건강가족 정책의 패러다임의 변화와 방법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 3. 건강가정기본법에 대한 제정 배경 및 이념, 문제점과 개정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건강가정정책에 대하여 폭넓은 관점에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다. 4. 건강가정을 선도하기 위한 실질적 서비스를 실천하는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전반적인 운영체계 및 기능과 실제적인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건강가정사의 역할과 건강가정사가 되기 위한 자격제도 및 현장실습에 관하여 설명할 수 있다. 5. 필드에서 실질적으로 적용하는 데 필요한 기술 및 실천과정과 지역사회 내에서의 네트워크 중요성과 실질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건강가정지원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정리하여 적용할 수 있다. 6. 건강가정사업의 대상인 다양한 가족의 이해와 이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실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다. |
강의방법 | 온라인 강의, 토론, 과제, 질문답변, 형성평가, 학습자료실, 퀴즈, 생각나누기 |
교재/참고문헌 | 없음 |
평가기준 | 출석(20점) ,과제(2점) ,토론(20점) ,중간(25점) ,기말(25점) ,퀴즈(3점) ,수업참여도(5점) |
이수기준 | 출석: 16점 이상(80%), 총점: 60점 이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