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에게 도움이 되고 세상을 행복하게 하는 교육기관이 되겠습니다.
![]() |
강의교수 | 이신동 | ||
---|---|---|---|---|
수강료 | 34,900 | 학점 | 3 | |
학습기간 | 2025/05/22 ~ 2025/09/03(15주) | 정원 | 80 | |
교수학력 | -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졸업 -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졸업(석, 박사) - Stanford University Post-Doc |
|||
교수경력 | -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원장 -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영재교육원 원장 |
|||
[전공관련영역]
학사 - 교양,심리학 전공,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전공 전문학사 - 교양,생활교양 전공 |
과목개요 | 교육심리학은 교육에 대한 이해와 이를 바탕으로 한 교수-학습의 개선방안, 즉 더 잘 가르치고 더 잘 배우기 위한 방법과 원리들을 제시하기 위한 학문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교육심리학의 개요/ 교육심리학의 연구방법/ 학습자 이해1-인지발달/ 학습자 이해2-성격발달/ 학습자 이해3-사회성과 도덕성발달/ 지능과 창의력/ 학습자의 다양성/ 학습의 행동주의적 접근/ 학습의 인지심리학적 접근/ 동기화와 학습/ 교수이론과 실제/ 학업평가/ 교육심리학 총론 등을 학습 한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현장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심리적 현상들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학습에 기재하는 원리를 탐구하고, 학습자의 특성ㆍ발달ㆍ학습에 대한 평가 등을 이해하여 학습과 학습자에 도움을 주는 능력을 습득한다. |
---|---|
학습목표 | 1. 교육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심리적 현상을 과학적인 객관성에 기초하여 연구하고 규명하여 효과적인 교육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2. 심리학의 기초적인 내용을 통해 다양한 정서행동 심리적 현상들을 살펴볼 수 있다. 3. 학습자 이해를 위해 인지발달 이론, 성격발달 이론, 도덕성발달, 지능과 창의력, 인지양식 등에 대한 이해를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다. 4. 정서행동의 원인을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파악하여 인간의 삶 속의 모습들을 알 수 있다. 5. 학습과 관련한 다양한 접근들과 연구의 분석과정을 토대로 교수활동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고하여 정리할 수 있다. 6. 교육심리에 대해 이해하고 기초지식을 쌓는 것을 목표로 한다. 7. 학습의 동기 발생과정과 동기부여 이론 및 전략을 학습하여 교수-학습의 개선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
강의방법 | 온라인 강의, 토론, 과제, 질문답변, 형성평가, 학습자료실, 퀴즈, 생각나누기 |
교재/참고문헌 | 없음 |
평가기준 | 출석(20점) ,과제(2점) ,토론(20점) ,중간(25점) ,기말(25점) ,퀴즈(3점) ,수업참여도(5점) |
이수기준 | 출석: 16점 이상(80%), 총점: 60점 이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