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에게 도움이 되고 세상을 행복하게 하는 교육기관이 되겠습니다.
![]() |
강의교수 | 김성철 | ||
---|---|---|---|---|
수강료 | 39,900 | 학점 | 3 | |
학습기간 | 2025/05/22 ~ 2025/09/03(15주) | 정원 | 320 | |
교수학력 | - 서울신학대학교(사회복지학) -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사회복지학) -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사회복지학) |
|||
교수경력 | - 서울신학대학교 행정학 겸임교수 -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초빙교수 - 성산효대학원 사회복지학 교수 - 백석대학교 사회복지학 교수 - 부천종합사회복지관 국장 - 인천연수구노인복지관 관장 - 성산종합사회복지관 관장 |
|||
[전공관련영역]
학사 - 교양, 사회복지 전공 전문학사 - 교양, 사회복지 전공 |
과목개요 | 사회구성원들의 기본적 욕구충족을 위해 조직화된 사회적 활동의 총체인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사회복지의 학문적 연구와 실천에 관한 지식을 개괄적으로 소개한다. 이를 위해 본 교과목에서는 사회복지의 개념과 동기, 사회복지의 가치 및 사회복지의 발달과정을 먼저 이해하고, 사회보험, 사회복지서비스, 자선과 박애, 공공복지, 상호부조 등 사회복지 관련 제도들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사회복지의 미시적, 거시적 실천방법을 알아보고, 사회복지와 관련된 분야들의 여러 쟁점들을 비롯하여 사회복지의 각 영역을 살펴보고, 한국의 사회복지의 전망과 과제에 대해 탐색한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전반에 걸친 이론적 이해를 향상시키고, 이에 기초하여 한국의 사회복지현황을 분석하고 발전방향을 모색하여 사회복지전문가로서의 자질을 배양한다. |
---|---|
학습목표 | 1. 사회복지 주요 개념과 관점, 발달과정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2. 사회복지의 가치와 윤리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3. 사회복지실천 역사의 핵심적인 변화점들을 구분하고 과거와 현재를 비교분석하여 미래의 사회복지에 대하여 전망하고 분석할 수 있다. 4. 사회복지의 실천방법의 개념을 이해하고 실천을 위한 기초 지식을 습득하여 사회복지의 대상인 클라이언트 영역, 생애주기 등에 맞게 실천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다. 5. 다양한 교수방법(토론, 전문가인터뷰, 현장탐방)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사회복지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다. 6. 사회복지 실천의 다양한 분야에 대하여 이해하고 자신에게 적합한 사회복지 분야를 발견하여 향후 보다 전문적이고 실질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 7. 사회복지현장을 이해하고 인간존중의 가치와 바람직한 사회복지사의 자세를 확립할 수 있다. 8.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상황과 앞으로의 전망 및 과제에 대해 제시할 수 있다. |
강의방법 | 온라인 강의, 토론, 과제, 질문답변, 형성평가, 학습자료실, 퀴즈, 생각나누기 |
교재/참고문헌 | 없음 |
평가기준 | 출석(20점) ,과제(2점) ,토론(20점) ,중간(25점) ,기말(25점) ,퀴즈(3점) ,수업참여도(5점) |
이수기준 | 출석: 16점 이상(80%), 총점: 60점 이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