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에게 도움이 되고 세상을 행복하게 하는 교육기관이 되겠습니다.
![]() |
강의교수 | 이명희 | ||
---|---|---|---|---|
수강료 | 39,900 | 학점 | 3 | |
학습기간 | 2025/05/22 ~ 2025/09/03(15주) | 정원 | 40 | |
교수학력 | - 숙명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과 졸업 -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 |
|||
교수경력 | 현재) 한국체육대학교 노인체육복지학과 강사 강남대 평생교육원 사회복지학과 강사 전) 강남대학교 교양교수부 강사 백석문화대 사회복지학과 강사 고려대학교 인문대학 강사 고려대학교 평생교육원 사회복지학과 강사 |
|||
[전공관련영역]
학사 - 사회복지학 전공, 아동학 전공 전문학사 - 사회복지 전공, 아동·가족 전공 |
과목개요 | 바람직한 가족을 이루기 위한 가족생활교육의 전반에 대해 소개하고 이해를 도모하여 각 영역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행하는 절차를 학습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가족의 중요성과 역할, 기능에 대해 개괄적 이해를 선행한 후, 가족생활교육의 의미와 필요성, 발달과정을 살펴본다. 관계향상교육, 부모교육, 부모자녀교육, 성교육 등 가족생활교육 주요 영역의 원리와 이론 및 실제에 대해 학습하며, 가족생활교육의 관련 쟁점들을 분석하고, 실제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을 디자인해 본다. 마지막으로 가족생활교육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사회복지적 과제 및 전망,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고찰해 본다. 이를 바탕으로 급변하는 사회변화 속에서 역시 변화를 겪고 있는 가족의 구조 및 형태, 기능들에 대해 깊이 있게 인식하고, 가족생활교육의 이론과 지식을 응용하여 이에 대한 다양하고 적절한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행할 수 있다. |
---|---|
학습목표 | 1. 가족생활교육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이론적 배경과 실천방법을 알고 가족생활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가족을 바라보는 여러 관점과 역할·기능에 대해 익히고, 가족의 기능과 시대에 따른 변화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3.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설계 단계에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을 이해하고 문제를 분석하며 개발 대상자 및 목적과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4. 가족생활교육의 프로그램개발과 실행 평가 등 실천적인 기술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 5. 가족생활교육의 주요영역 즉 관계향상교육, 부모자녀 관계교육, 생애주기별 교육, 가족유형별 교육의 원리와 실제를 학습하고 실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다. 6. 가족생활교육과 가족생활교육사의 위치를 점검하고 이를 토대로 가족생활교육의 과제를 구분하고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다. 7. 가족생활교육의 윤리와 전망에 대한 파악으로 가족생활교육자로서의 총체적인 전문 역량을 기를 수 있다. |
강의방법 | 온라인 강의, 토론, 과제, 질문답변, 형성평가, 학습자료실, 퀴즈, 생각나누기 |
교재/참고문헌 | 없음 |
평가기준 | 출석(20점) ,과제(2점) ,토론(20점) ,중간(25점) ,기말(25점) ,퀴즈(3점) ,수업참여도(5점) |
이수기준 | 출석: 16점 이상(80%), 총점: 60점 이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