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에게 도움이 되고 세상을 행복하게 하는 교육기관이 되겠습니다.
![]() |
강의교수 | 전영숙 | ||
---|---|---|---|---|
수강료 | 39,900 | 학점 | 3 | |
학습기간 | 2025/05/22 ~ 2025/09/03(15주) | 정원 | 440 | |
교수학력 | 학사 : 총신대학교 기독교교육 문학사 석사 : 대전대학교 사회복지학 행정학석사 박사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박사 |
|||
교수경력 | 한국치료활동복지센터 센터장 백석예술대학교 보건복지학부 강사 |
|||
[전공관련영역]
학사 - 전문학사 - |
과목개요 | 개인 및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고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문적 실천기술로 가족상담 및 치료의 주요 모델과 실제를 학습한다. 이를 위해 가족 및 가족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가족상담과 가족치료의 필요성, 기능 및 역할, 사회복지실천과의 관련성에 대해 이해한다. 또한,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발전과정과 관련된 제반이론, 이를 기초로 진행되는 가족상담 및 치료과정과 가족치료모델의 실제 등을 학습한다. 가족사정 및 평가, 가족치료 및 종결의 일련의 과정들을 사례분석과 역할연습을 통해 가족상담 및 치료의 과정과 기법을 훈련한다. 나아가 가족상담 및 치료의 실제에서 필요한 기법과 예상되는 문제점 등을 검토하여 가족상담에 필요한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가족문제를 해결하고 예방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할 뿐만 아니라 실험할 수 있는 가족상담 및 치료의 기법을 익히고 활용할 수 있다. |
---|---|
학습목표 | 1.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에 영향을 준 이론들의 핵심 개념과 원리에 대해 정리하여, 실제 가족 상담 및 치료 상황에서 이론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고려할 수 있다. 2. 체계론적 관점에서 가족발달주기상에서의 가족의 문제와 달성해야 하는 발달과업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3. 다양한 가족상담 및 치료 모델들의 이론적인 지식과 실제 상황을 효과적으로 연결시키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4. 가족치료 모델들을 통해 가족 시스템의 재구성, 소통 개선, 갈등 해결 등을 위한 다양한 기술들을 습득하고, 실제 상황에서의 적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성공적인 가족상담을 위해 초기 단계부터 가족원과 신뢰적 관계를 형성하고 상담의 구조화를 위해 노력함과 동시에 상담목표를 정하고 다양한 가족치료모델과 기법을 적용하여 개입할 수 있다. 6. 문제유형별 가족사례에 대한 이론적 학습을 통해 실제 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절한 상담기법을 익히고, 실제현장에서 가족유형에 따라 바람직한 상담방향을 모색하여 적용할 수 있다. 7. 가족상담자의 역할과 자질을 학습함으로써 가족상담 분야의 발전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할 것인지 방향을 모색할 수 있다. |
강의방법 | 온라인 강의, 토론, 과제, 질문답변, 형성평가, 학습자료실, 퀴즈, 생각나누기 |
교재/참고문헌 | 없음 |
평가기준 | 출석(20점) ,과제(2점) ,토론(20점) ,중간(25점) ,기말(25점) ,퀴즈(3점) ,수업참여도(5점) |
이수기준 | 출석: 16점 이상(80%), 총점: 60점 이상 |